맨위로가기

프랑수아 쿠프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랑수아 쿠프랭(1668-1733)은 프랑스의 작곡가이자 오르간 연주자, 클라브생 연주자이다. 쿠프랭 가문은 17세기 파리로 초청받아 음악 활동을 시작했으며, 프랑수아 쿠프랭은 베르사유 악파의 대표적인 클라브생 음악가로 명성을 얻었다. 그는 4권의 클라브생 곡집을 통해 240곡 이상의 작품을 남겼으며, 섬세하고 우아한 선율과 묘사적인 표제를 특징으로 하는 클라브생 작품은 로코코 양식을 대표한다. 또한 오르간, 종교 음악, 실내악 분야에서도 뛰어난 작품을 남겼으며, 바흐, 헨델 등 당대 음악가들에게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프시코드 작곡가 -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는 바로크 시대 독일의 작곡가이자 오르가니스트로, 뛰어난 대위법 기법과 독창적인 화성으로 서양 음악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다양한 장르에 걸쳐 1000곡이 넘는 작품을 남긴 거장이다.
  • 하프시코드 작곡가 - 지롤라모 프레스코발디
    지롤라모 프레스코발디는 17세기 초 건반 악기 음악 발전에 크게 기여한 이탈리아의 작곡가이자 오르가니스트로, 토카타, 칸초나, 리체르카레, 변주곡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남겼다.
  • 1733년 사망 - 버나드 맨더빌
    버나드 맨더빌은 네덜란드 출신으로 영국에서 의사이자 철학자, 사회사상가로 활동하며 '사적 악덕이 공공의 이익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역설적인 주장을 펼쳐 아담 스미스의 '보이지 않는 손' 이론에 영향을 주었고 윤리, 경제, 정치, 사회에 관한 독창적인 견해를 제시했다.
  • 1733년 사망 - 아우구스트 2세
    아우구스트 2세는 작센 선제후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1세로서 1697년부터 1706년, 1709년부터 1733년까지 폴란드 국왕이자 리투아니아 대공를 지냈으며, 폴란드 왕위를 위해 가톨릭으로 개종, 대북방 전쟁에 참여하여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을 러시아 영향력 아래 두었고 드레스덴을 문화 중심지로 발전시키는 데 기여했다.
  • 1668년 출생 - 각혜황귀비
    각혜황귀비는 강희제의 후궁으로, 효의인황후의 여동생이자 효강장황후의 조카이며, 귀비에 책봉된 후 황귀비, 황조수기황귀태비로 추존되었고, 숙혜라는 시호를 받았다.
  • 1668년 출생 - 심호
    심호는 조선 숙종 시대 인물로, 딸이 경종의 비인 단의왕후가 되면서 벼슬길에 올라 사옹원 첨정으로 재직 중 사망 후 우의정에 증직되었고, 경종 즉위 후에는 국구로서 청은부원군에 추봉되고 영의정에 가증된 명문가 출신이다.
프랑수아 쿠프랭
기본 정보
프랑수아 쿠프랭의 초상화, 출처 불명, 베르사유 궁전 소장
프랑수아 쿠프랭의 초상화, 출처 불명, 베르사유 궁전 소장
본명프랑수아 쿠프랭
출생1668년 11월 10일
사망1733년 9월 11일
출생지프랑스 파리
사망지프랑스 파리
국적프랑스
활동 시기바로크 음악 시대
직업작곡가
음악 스타일
장르바로크 음악
관련 인물
가족쿠프랭 가문

2. 생애

쿠프랭 가문은 루이 쿠프랭, 프랑수아 쿠프랭, 샤를 쿠프랭 3형제가 장크 샹폴 드 샹포니엘(프랑스 클라브생 음악의 창시자)에 의해 파리에 초대받은 후 알려지기 시작했다. 루이 쿠프랭과 그가 죽은 후 샤를 쿠프랭이 생 제르베-생 프로테 교회의 오르간 연주자로 있었는데, '대(大) 쿠프랭'은 샤를 쿠프랭의 아들이었고, 그 역시 이 성당의 오르간 연주자였다.[1] 샤를이 죽은 후에는 랄랑드가 이 직책을 대행하고 있었는데, 1685년 내지 1686년에 랄랑드로부터 이어받아 1723년에 조카인 니콜라스에게 양도했다.

쿠프랭, 장 자크 플리파르의 판화, 1735년, 앙드레 부아 작.


쿠프랭은 아버지 샤를로부터 처음 음악 교육을 받았지만, 1679년 샤를이 사망하면서 생 제르베-생 프로테 교회의 오르간 연주자 자리를 물려받았다.[1] 교회는 미셸 리샤르 델라란데를 고용했지만, 18세가 되면 프랑수아가 그를 대신하기로 했다.[1] 11세의 쿠프랭은 궁정 및 생 자크 타워 교회에서 봉사한 오르간 연주자 자크 토멜랭의 보살핌과 가르침을 받았다.[1] 1685년, 교회 평의회는 계약 없이 쿠프랭에게 급여를 제공하기 시작했다.[1]

1693년 콩쿠르 결과, 쿠프랭은 자크 토멜랭의 후임으로 왕궁 교회당의 오르간 연주자 4인 가운데 한 사람으로 뽑혔다.[1] 그 뒤 부르고뉴 공에게 클라브생과 작곡을 가르친 것을 계기로 왕족·귀족의 음악 교사가 되었고, 루이 왕가의 신임도 두터웠으나, 높은 지위에는 오르지 못하였다.[1]

1689년 쿠프랭은 마리-안 안소와 결혼했다.[1] 이듬해 그의 오르간 미사집인 ''Pièces d'orgue''가 출판되었는데, 미셸 리샤르 델라란데의 칭찬을 받았다.[1] 1717년 쿠프랭은 '국왕의 실내악 음악 담당 하프시코드 연주자'가 되었는데, 이는 궁정 음악가에게 주어질 수 있는 가장 높은 직책 중 하나였다.[2]

1713년 그는 '그의 작곡의 여러 음악 작품, 성악과 기악을 함께 또는 따로' 출판할 수 있도록 광범위한 ''국왕 특권''을 신청했고, ''피에스 드 클라브생''의 첫 번째 권(총 4권)을 발행했다.[2] 클라브생 연주법(L'art de toucher le clavecin)은 1716년에 출판되었고, 이 외에도 건반 및 실내악 작품집이 출판되었다.

쿠프랭의 건강은 1720년대 내내 꾸준히 악화되었다. 1723년에는 생 제르베에서 사촌의 도움이 필요했고, 1730년에는 쿠프랭의 궁정 하프시코드 연주자 직을 그의 딸 마르그리트-안투아네트가 이어받았다. 쿠프랭의 마지막 출판물은 ''비올 작품집''(1728)과 하프시코드 작품집의 네 번째 권(1730)이었다. 쿠프랭은 1733년에 사망했다.

2. 1. 가문과 초기 생애

쿠프랭 가문은 루이 쿠프랭, 프랑수아 쿠프랭, 샤를 쿠프랭 3형제가 장크 샹폴 드 샹포니엘(1602-1672)에 의해 파리에 초대받은 후 알려지기 시작했다. 루이 쿠프랭과 그가 죽은 후 샤를 쿠프랭이 생 제르베-생 프로테 교회의 오르간 연주자로 있었는데, '대(大) 쿠프랭'은 샤를 쿠프랭의 아들이었고, 그 역시 이 성당의 오르간 연주자였다.[1] 샤를이 죽은 후에는 랄랑드가 이 직책을 대행하고 있었는데, 1685년 내지 1686년에 랄랑드로부터 이어받아 1723년에 조카인 니콜라스에게 양도했다.

프랑수아 쿠프랭은 파리에서 태어났다.[1] 그의 아버지 샤를은 생 제르베-생 프로테 교회의 오르간 연주자였으며, 이 자리는 샤를의 형 루이 쿠프랭이 맡았던 자리였다.[1] 소년이었던 프랑수아는 아버지로부터 첫 음악 수업을 받았지만, 샤를은 1679년에 사망했고, 생 제르베 교회의 자리를 아들에게 물려주었다. 생 제르베 교회의 집사들은 미셸 리샤르 델라란데를 새로운 오르간 연주자로 고용했지만, 18세가 되면 프랑수아가 그를 대신하기로 했다. 샤를의 사망으로 쿠프랭에게 제공되었던 연간 100 리브르의 급여는 점차 400 리브르로 증가했는데, 이는 쿠프랭이 학업이 진행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그의 역할을 맡기 시작했음을 시사한다.

11세의 쿠프랭은 궁정 및 생 자크 타워 교회에서 봉사한 오르간 연주자 자크 토멜랭의 보살핌과 가르침을 받았다. 프랑수아의 재능은 일찍이 드러났는데, 1685년까지 교회 평의회가 그에게 계약 없이 급여를 제공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1689년에 쿠프랭은 마리-안느 아쏘와 결혼했고, 1690년에는 첫 출판 작품인 두 개의 오르간 미사로 구성된 오르간 곡집을 출판했으며, 1693년에는 루이 14세에 의해 토믈랭의 후임으로 선출되었다.

2. 2. 생 제르베 교회 오르간 연주자

쿠프랭 가문은 루이, 프랑수아, 샤를 3형제가 장크 샹폴 드 샹포니엘(프랑스 클라브생 음악의 창시자)에 의해 파리로 초대받으면서 알려지기 시작했다.[1] 루이와 샤를은 생 제르베-생 프로테 교회의 오르간 연주자였으며, 프랑수아 쿠프랭(대 쿠프랭)은 샤를의 아들로, 아버지의 뒤를 이어 이 교회 오르간 연주자가 되었다.[1] 샤를이 사망한 후 랄랑드가 대행하고 있었으나, 1685년 또는 1686년에 쿠프랭이 이 직책을 이어받았고, 1723년에 조카 니콜라스에게 물려주었다.[1]

쿠프랭은 아버지 샤를로부터 처음 음악 교육을 받았지만, 1679년 샤를이 사망하면서 생 제르베-생 프로테 교회의 오르간 연주자 자리를 물려받았다.[1] 교회는 미셸 리샤르 델라란데를 고용했지만, 18세가 되면 프랑수아가 그를 대신하기로 했다.[1] 샤를의 사망으로 쿠프랭에게 제공되었던 연간 100 리브르의 급여는 점차 400 리브르로 증가했는데, 이는 쿠프랭이 학업이 진행됨에 따라 점차 역할을 맡기 시작했음을 시사한다.[1]

11세의 쿠프랭은 궁정 및 생 자크 타워 교회에서 봉사한 오르간 연주자 자크 토멜랭의 보살핌과 가르침을 받았다.[1] 1685년, 교회 평의회는 계약 없이 쿠프랭에게 급여를 제공하기 시작했다.[1] 쿠프랭은 약속된 날을 기다리지 않고 실질적으로 생 제르베 교회의 오르가니스트를 맡게 되었고, 1685년 11월 1일 교회 평의회는 쿠프랭에게 보수를 지급하기로 결정했다.

2. 3. 왕실 음악가

쿠프랭 가문은 루이 쿠프랭, 프랑수아 쿠프랭, 샤를 쿠프랭 3형제가 장크 샹폴 드 샹포니엘(프랑스 클라브생 음악의 창시자)에 의해 파리에 초대받은 후 알려지기 시작했다.[1] 루이와 그가 죽은 후 샤를이 생 제르베 성당의 오르간 연주자로 있었으나, '대(大) 쿠프랭'은 샤를의 아들이었고 그 역시 이 성당의 오르간 연주자였다. 샤를이 죽은 후 랄랑드가 대행하고 있던 이 직책을 1685년 내지 1686년에 이어받아 1723년에 조카인 니콜라스에게 양도했다.[1]

1693년 콩쿠르 결과, 쿠프랭은 아버지와 함께 자신을 가르친 자크 토멜랭의 후임으로 왕궁 교회당의 4인의 오르간 연주자 가운데 한 사람으로 뽑혔다.[1] 그 뒤 부르고뉴 공에게 클라브생과 작곡을 가르친 것을 계기로 왕족·귀족의 음악 교사가 되었고, 루이 왕가의 신임도 두터웠으나, 높은 지위에는 오르지 못하였다.[1]

21세에 쿠프랭은 어머니를 잃었지만, 1689년에 부유한 집안의 딸인 마리-안 안소와 결혼했다.[1] 이듬해 그의 오르간 미사집인 ''Pièces d'orgue''가 출판되었는데, 이 작품은 미셸 리샤르 델라란데의 칭찬을 받았다.[1] 3년 후 쿠프랭은 루이 14세의 궁정에서 자크 토멜랭의 뒤를 이었다.[1] 이 임명으로 그는 당시 최고의 작곡가들과 귀족들과 접촉하게 되었다.[1] 그는 작곡을 하면서 동시에 생 제르베 교회의 오르간 연주자와 궁정에서의 임무를 수행했다.[1]

1717년 쿠프랭은 '국왕의 실내악 음악 담당 하프시코드 연주자'가 되었는데, 이는 궁정 음악가에게 주어질 수 있는 가장 높은 직책 중 하나였다.[2]

2. 4. 후기 생애

쿠프랭은 파리에서 저명한 음악가 집안에서 태어났다.[1] 1713년 그는 '그의 작곡의 여러 음악 작품, 성악과 기악을 함께 또는 따로' 출판할 수 있도록 광범위한 ''국왕 특권''을 신청했고, 이를 즉시 활용하여 그의 하프시코드 작품집, ''피에스 드 클라브생''의 첫 번째(총 4권 중) 권을 발행했다.[2] 클라브생 연주법(L'art de toucher le clavecin) 매뉴얼은 1716년에 출판되었고(이후 즉시 회수되어 이듬해 재출판), 이 외에도 건반 및 실내악 작품집이 출판되었다.

1717년 쿠프랭은 ''국왕의 실내악 음악 담당 하프시코드 연주자''가 되었는데, 이는 궁정 음악가에게 주어질 수 있는 가장 높은 직책 중 하나였으며, 한때 장-앙리 앙글베르가 맡았던 자리였다. 그러나 1715년 루이 14세가 사망한 후 그의 궁정 음악 활동 참여는 줄어들었을 수 있다.

쿠프랭의 건강은 1720년대 내내 꾸준히 악화되었다. 1723년에는 생 제르베에서 사촌의 도움이 필요했고, 1730년에는 쿠프랭의 궁정 하프시코드 연주자 직을 그의 딸 마르그리트-안투아네트가 이어받았다. 쿠프랭의 마지막 출판물은 ''비올 작품집''(1728)과 하프시코드 작품집의 네 번째 권(1730)이었다. 이 작곡가는 1733년에 사망했다. 쿠프랭과 그의 가족이 1724년부터 살았던 건물은 현재까지 남아 있으며, 라드지빌 거리와 프티 샹 거리의 교차로에 위치해 있다. 작곡가는 최소 세 명의 자녀를 남겼는데, 1741년까지 궁정 하프시코드 연주자로 활동한 마르그리트-안투아네트, 수녀가 되어 모뷔송 수도원에서 오르간 연주자로 활동했을 가능성이 있는 마리-마들렌(마리-세실), 그리고 프랑수아가 사망한 후 가족을 떠났다는 동시대 자료가 있는 프랑수아-로랑이 그들이다.

1716년에는 클라브생 연주론인 『클라브생 주법』(''L'art de toucher le clavecin'')을 출판했다. 1717년에는 『클라브생 주법』의 제2판이 출판되었고, 아마도 같은 해에 『클라브생 곡집 제2권』이 출판되었다.[8]

1722년에 『클라브생 곡집 제3권』이 출판되었고, 『왕의 콘서트』(''Concerts Royaux'')가 그 제2부로 출판되었다. 또한 1724년에는 『왕의 콘서트』의 속편으로 『취미의 융합, 또는 새로운 콘서트』(''Les Goûts réunis ou Nouveaux Concerts'')를 출판, 1725년에 『비할 데 없는 륄리 씨의 추억에 바치는 찬가의 콘서트』(''Concert en forme d'apothéose à la mémoire de l'incomparable M. de Lully''), 1726년에 『여러 나라 사람들 - 트리오에 의한 소나데와 심포니 모음곡집』(''Les Nations - Sonades et suites de simphonies en trio''), 1728년에 『통주 저음이 있는 비올 곡집』(''Pieces de violes avec la basse chifrée'')과 같이, 이 시기에 쿠프랭은 잇따라 실내악 작품을 출판했다.

1730년 『클라브생 곡집 제4권』의 서문에서 쿠프랭은 건강 상태가 악화되고 있음을 기록하고 있다. "3년 전쯤에 이 작품들은 완성되었다. 그러나 제 건강은 날마다 쇠약해지고 있으므로 친구들은 일을 쉬도록 충고해 주었다. 그래서 그 후에는 아무런 큰 일을 하지 않았다. 제 작품에 갈채를 보내주신 제현들께 감사드립니다..."[9]. 그로부터 3년 후인 1733년 9월 11일 쿠프랭은 생을 마감했다.

3. 작품 세계

프랑수아 쿠프랭은 오르간 음악, 종교음악, 실내악 등 다양한 분야에서 뛰어난 작품을 남겼지만, 특히 클라브생(쳄발로)을 위한 작품으로 유명하다.[2] 그는 샹보니에르부터 장앙리 당글베르, 엘리자베스 클로드 자케 드 라 게르, 루이 마르샹을 거쳐 장 필리프 라모, 루이 클로드 다캉에 이르는 베르사유 악파 클라브생 음악가 중에서도 가장 뛰어난 거장으로 평가받는다.

쿠프랭은 여러 소곡을 모음곡 형태로 묶어 '오르드르(Ordre)'라고 불렀다. 각 소곡은 전통적인 춤곡 형식을 따르면서도 문학적, 회화적인 제목을 붙여 상상력을 자극했다. 섬세한 울림, 우아한 꾸밈음, 유려한 멜로디는 로코코 양식의 세련된 감각을 보여주지만, 때로는 깊은 우수, 기지, 풍자가 담겨 있어 절제된 표현 속에 풍부한 감성을 느낄 수 있다. 이는 쿠프랭의 고전주의적 성격을 잘 드러낸다.

그는 장 필리프 라모와 함께 프랑스 클라브생 음악의 정점을 이끌었으며, '이성과 감정의 균형'이라는 특징은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등 다른 나라 거장들에게도 영향을 주었다. 아르칸젤로 코렐리트리오 소나타 형식을 프랑스에 도입했고, 프랑스 바로크 음악과 이탈리아 바로크 음악 스타일을 융합하여 ''réunion des goûts''(취향의 재결합)라는 독자적인 스타일을 만들었다.

3. 1. 클라브생 작품

프랑수아 쿠프랭은 오르간 음악, 종교음악, 실내악 등 다양한 분야에서 뛰어난 작품을 남겼지만, 특히 클라브생(쳄발로)을 위한 작품으로 유명하다.[2] 샹보니에르부터 장앙리 당글베르, 엘리자베스 클로드 자케 드 라 게르, 루이 마르샹을 거쳐 장 필리프 라모, 루이 클로드 다캉에 이르는 베르사유 악파 클라브생 음악가 중에서도 쿠프랭은 독보적인 거장으로 손꼽힌다.

쿠프랭은 소곡들을 모아 '오르드르(Ordre)'라는 모음곡 형태로 묶었는데, 각 소곡은 전통 춤곡 형식이면서도 문학적, 회화적 제목을 붙여 상상력을 자극했다. 섬세한 울림, 우아한 꾸밈음, 유려한 멜로디는 로코코 양식의 세련미를 보여주지만, 때로는 깊은 우수, 기지, 풍자가 담겨 있어 절제된 표현 속에 풍부한 감성을 느낄 수 있다. 이는 쿠프랭의 고전주의적 성격을 잘 드러낸다.

쿠프랭은 장 필리프 라모와 함께 프랑스 클라브생 음악의 정점을 이끌었으며, '이성과 감정의 균형'이라는 특징은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등 다른 나라 거장들에게도 영향을 주었다. 그의 클라브생 작품은 4권의 곡집(240여 곡, 27 오르드르)과 6개의 전주곡으로 구성된다.[2] 모테토 등 성악곡, 오르간 미사곡 2개, 아르칸젤로 코렐리의 영향을 받은 실내악곡 등 다른 작품에서도 거장의 면모를 확인할 수 있다.

1713년 쿠프랭은 ''국왕 특권''을 받아 하프시코드 작품집 ''피에스 드 클라브생'' 첫 권을 발행했고,[2] 1716년에는 ''클라브생 연주법''을 출판하여 연주 기법, 8개 전주곡, 알르망드 등을 제시했다.[2]

쿠프랭의 많은 건반 작품은 "''작은 풍차''", "''신비로운 바리케이드''"처럼 연상적이고 그림 같은 제목을 가지며, 조 선택, 화성, 불협화음으로 분위기를 표현하여 '미니어처 톤 시'로 비유된다. 리하르트 슈트라우스는 일부를 관현악으로 편곡했고, 요하네스 브람스는 쿠프랭의 영향을 받아 그의 음악을 연주하고 ''Pièces de clavecin'' 편집에 기여했다. 토마스 아데스는 "쿠프랭에서 세 개의 연구"에서 쿠프랭 작품을 관현악으로 편곡했다.

조르디 사발은 쿠프랭을 "탁월한 시인 음악가"로 칭하며, "음악이 시와 산문으로 표현 가능한 능력을 지녔고, 음악의 시에 들어가면 아름다움보다 더 아름다운 은혜를 전달한다"라고 평가했다.

3. 1. 1. 클라브생 곡집 제1권 (1713)

프랑수아 쿠프랭은 클라브생을 위한 작품으로 특히 유명하며, 1713년에 출판된 클라브생 곡집 제1권은 그의 대표작 중 하나이다.[2] 이 곡집은 제1 오르드르부터 제5 오르드르까지 총 5개의 오르드르로 구성되어 있다. 각 오르드르는 여러 개의 소곡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소곡은 전통적인 춤곡 형식을 따르면서도 문학적, 회화적인 표제를 가지고 있어 듣는 이의 상상력을 자극한다.

각 오르드르에 수록된 소곡들은 다음과 같다.

오르드르수록곡
제1 오르드르
(G단조/G장조)
제2 오르드르
(D단조/D장조)
제3 오르드르
(c단조/C장조)
제4 오르드르
(F장조)
제5 오르드르
(A장조/a단조)



이 곡들은 섬세한 울림과 우아한 꾸밈음으로 장식된 유려한 멜로디를 특징으로 하며, 로코코 시대의 세련된 감각을 보여준다. 그러나 그 이면에는 깊은 우수와 기지, 풍자가 담겨 있으며, 절제된 표현 속에서 풍부한 감성을 느낄 수 있다.

3. 1. 2. 클라브생 곡집 제2권 (1716-1717)

Pièces de clavecin프랑스어 제2권은 1716년에서 1717년 사이에 출판되었으며, 제6 오르드르에서 제12 오르드르까지 포함한다.[2] 각 오르드르는 여러 개의 소곡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소곡은 전통적인 춤곡 형식을 따르면서도 표제적인 제목을 가지고 있어 듣는 이의 상상력을 자극한다.
제6 오르드르 (내림 라장조)

  • 수확하는 사람들 Les moissoneurs프랑스어
  • 부드러운 우울 Les langueurs-tendres프랑스어
  • 지저귐 Le gazoüillement프랑스어
  • 베르상 La Bersan프랑스어
  • 신비로운 방벽 Les baricades mistérieuses프랑스어
  • 전원시, 론도 Les bergeries, rondeau프랑스어
  • 수다쟁이 La commére프랑스어
  • 날벌레 Le moucheron프랑스어

제7 오르드르 (사장조)

  • 메누투 La Ménetou프랑스어[17]
  • 어린 시절: 뮤즈의 탄생, 유년기, 사춘기, 쾌락 Les petits âges: La muse naissante, L'enfantine, L'adolescente, Les délices프랑스어
  • 바스크 La Basque프랑스어
  • 샤제 La Chazé프랑스어
  • 기분 전환 Les amusemens프랑스어

제8 오르드르 (나단조)

  • 라파엘 La Raphaéle프랑스어
  • 알망드 "오조니엔느" Allemande L'Ausoniéne프랑스어
  • 제1 쿠랑트 Premiere courante프랑스어
  • 제2 쿠랑트 Seconde courante프랑스어
  • 사라방드 "무비" Sarabande L'unique프랑스어
  • 가보트 Gavotte프랑스어
  • 론도 Rondeau프랑스어
  • 지그 Gigue프랑스어
  • 파사칼리아 Passacaille프랑스어
  • 모리네 La Morinéte프랑스어

제9 오르드르 (가장조/가단조)

  • 두 대의 클라브생을 위한 알망드 Allemande à deux clavecins프랑스어
  • 청량 La rafraîchissante프랑스어
  • 매력 Les charmes프랑스어
  • 상스의 공주 La Princesse de Sens프랑스어[18]
  • 올림픽 L'olimpique프랑스어
  • 겸손 L'insinüante프랑스어
  • 매혹 La séduisante프랑스어
  • 펄럭이는 리본 Le bavolet-flotant프랑스어
  • 약식 상복, 또는 세 명의 미망인 Le petit-deüil, ou Les trois veuves프랑스어
  • 미뉴에 Menuet프랑스어

제10 오르드르 (라장조/라단조)

  • 개선 La triomphante프랑스어
  • 메장제르 La Mézangére프랑스어
  • 가브리엘 La Gabriéle프랑스어
  • 노앙텔 La Nointéle프랑스어
  • 쾌활함 La fringante프랑스어
  • 아마존 L'amazône프랑스어
  • 바가텔 Les bagatelles프랑스어

제11 오르드르 (다단조/다장조)

  • 카스텔란 La castelane프랑스어
  • 빛남, 또는 봉탕 L'etincelante, ou La bontems프랑스어
  • 타고난 기품 Les graces-naturéles프랑스어
  • 제노비 La Zénobie프랑스어
  • 위대하고 오래된 음유시인 조합의 연대기 Les fastes de la grande et ancienne Mxnxstrxndxsx프랑스어[19]
  • 제1막 음유시인 조합의 명사들과 조합원 Premier Acte. Les Notables, et Jurés - Mxnxstrxndxurs.프랑스어
  • 제2막 비엘 연주자와 거지 Second Acte. Les Viéleux, et les Gueux.프랑스어
  • 제3막 곰과 원숭이를 데리고 다니는 여행 악사와 곡예사, 거리의 배우 Troisième Acte. Les Jongleurs, Sauteurset Saltimbanques: avec les Ours, et les Singes.프랑스어
  • 제4막 상이군인, 또는 위대한 음유시인 조합에 속하는 사람들 Quatrième Acte. Les Invalides: ou gens Estropiés au service de la grande Mxnxstrxndxsx.프랑스어
  • 제5막 술꾼과 원숭이, 곰이 일으킨 무질서와 도주 Cinquième Acte. Désordre, et déroute de toute la troupe: causés par les Yvrognes, les Singes, et les Ours.프랑스어

제12 오르드르 (마장조/마단조)

  • 쌍둥이 Les juméles프랑스어
  • 친밀함, 쿠랑트의 템포로 L'intîme, mouvement de courante프랑스어
  • 갤런트 La galante프랑스어
  • 코리방트 La coribante프랑스어
  • 보브르 La Vauvré프랑스어
  • 실 잣는 여인 La fileuse프랑스어
  • 불루아즈 La boulonoise프랑스어
  • 아탈란테 L'Atalante프랑스어

3. 1. 3. 클라브생 곡집 제3권 (1722)

프랑수아 쿠프랭의 클라브생 곡집 제3권은 1722년에 출판되었으며, 제13오르드르에서 제19오르드르까지 총 7개의 오르드르를 포함하고 있다.[2] 각 오르드르는 여러 개의 소곡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소곡은 전통적인 춤곡 형식을 따르면서도 문학적, 회화적인 표제를 가지고 있어 듣는 이의 상상력을 자극한다. 섬세한 울림과 우아한 꾸밈음으로 장식된 유려한 선율은 로코코 양식의 세련된 감각을 보여주지만, 때로는 깊은 우수와 기지, 풍자를 담고 있기도 하다.
제13오르드르 라단조

  • 백합 Les lis naissans
  • 갈대 Les rozeaux
  • 매혹 L'engageante[20]
  • 프랑스 폴리아, 또는 도미노 Les folies françoises, ou Les dominos
  • 순결, 보이지 않는 색의 도미노 아래 La Virginité, sous le Domino couleur d'invisible.
  • 수줍음, 장밋빛 도미노 아래 La Pudeur, sous le Domino couleur le rose.
  • 열정, 살색 도미노 아래 L'Ardeur, sous le Domino incarnat.
  • 희망, 녹색 도미노 아래 L'Esperance, sous le Domino vert.
  • 정절, 하늘색 도미노 아래 La Fidélité, sous le Domino bleu.
  • 인내, 아마색 도미노 아래 La Persévérance, sous le Domino gris de lin.
  • 권태, 자주색 도미노 아래 La Langueur, sous le Domino violet.
  • 코케트리, 여러 색의 도미노 아래 La Coquéterie, sous diférens Dominos.
  • 늙은 멋쟁이와 궁정 여인들, 진홍색과 낙엽색 도미노 아래 Les Vieux Galans et les trésorieres suranées, sous des Dominos pourpres et feuilles mortes.
  • 어리석은 뻐꾸기들, 노란색 도미노 아래 Les Coucous bénévoles, sous des Dominos jaunes.
  • 침묵하는 질투, 무어풍 짙은 쥐색 도미노 아래 La Jalousie taciturne, sous le Domino gris de maure.
  • 광란, 또는 절망, 검은색 도미노 아래 La Frénésie, ou le Désespoir, sous le Domino noir.
  • 연옥의 영혼 L'âme-en peine

제14오르드르 (라장조/라단조)

  • 사랑의 종달새 Le rossignol-en-amour
  • 종달새의 더블 Double du rossignol
  • 겁먹은 종달새 La linote-éfarouchée
  • 탄식하는 휘파람새 Les fauvétes plaintives
  • 승리하는 종달새 Le rossignol-vainqueur
  • 줄리에 La Julliet
  • 키테라 섬의 종 Le carillon de Cithére
  • 자질구레한 것 Le petit-rien

제15오르드르 (가단조/가장조)

  • 섭정, 또는 미네르바 La régente, ou La Minerve[21]
  • 자장가, 또는 요람 속의 사랑 Le dodo, ou L'amour au berceau
  • 경솔한 여자 L'evaporée
  • 쇼와지 뮈제트 Muséte de Choisi
  • 타베르니 뮈제트 Muséte de Taverni
  • 온화함과 신랄함 La douce et piquante
  • 꽃 피는 과수원 Les vergers fleüris
  • 샤브유 공주, 또는 모나코의 뮤즈 La Princesse de Chabeüil, ou La muse de Monaco

제16오르드르 (사장조/사단조)

  • 비할 데 없는 우아함, 또는 콩티 Les graces incomparables, ou La Conti
  • 결혼-사랑 L'himen-amour
  • 처녀 Les vestales
  • 사랑스러운 테레즈 L'aimable Thérèse
  • 기괴한 녀석 Le drôle de corps
  • 부주의한 여자 La distraite
  • 레티빌 La Létiville

제17오르드르 (마단조)

  • 위엄 또는 포르크레 La superbe, ou La Forqueray[22]
  • 작은 풍차 Les petits moulins à vent
  • 작은 종 Les timbres
  • 쿠랑트 Courante
  • 바뇰레의 작은 우유 짜는 여자 Les petites chrémières de Bagnolet

제18오르드르 (바단조/바장조)

  • 알르망드 『베르뇌유』 Allemande La Verneüil
  • 베르뇌이에트 La Verneüilléte
  • 수녀 모니크 Sœur Monique
  • 시끄러운 남자 Le turbulent
  • 감동 L'atendrissante
  • 틱톡쇼크, 또는 마이요탱 Le tic-toc-choc, ou Les maillotins[23]
  • 절름발이 가이야르 Le gaillard-boiteux

제19오르드르 (라단조/라장조)

  • 칼로탱과 칼로틴, 또는 시장 놀이극의 연극 Les Calotins et les Calotines, ou La piéce à tretous
  • 칼로틴 Les Calotines
  • 순진한 여자 L'ingénuë
  • 예술가 L'artiste
  • 도미니크회 수도사의 전락 Les culbutes Ixcxbxnxs[24]
  • 뮤즈 플랑틴 La Muse-Plantine
  • 점 L'enjouée

3. 1. 4. 클라브생 곡집 제4권 (1730)

프랑수아 쿠프랭의 클라브생 곡집 제4권은 1730년에 출판되었으며, 제20 오르드르에서 제27 오르드르까지 총 8개의 오르드르를 포함하고 있다.[2] 각 오르드르는 여러 개의 소곡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소곡은 독특한 표제를 가지고 있다.

오르드르소곡 제목
제20 오르드르 (G장조/G단조)
제21 오르드르 (E단조)
제22 오르드르 (D장조/D단조)
제23 오르드르 (F장조)
제24 오르드르 (a단조/A장조)
제25 오르드르 (E♭장조/C장조/C단조)
제26 오르드르 (F♯단조)
제27 오르드르 (b단조)


3. 1. 5. 클라브생 주법 (1716)

프랑수아 쿠프랭은 1716년에 클라브생 연주법(L'art de toucher le clavecin)이라는 책을 출판했다.[2] 이 책은 클라브생 연주 기법을 설명하는 매뉴얼로, 라단조 알망드 1곡과 8개의 프렐류드를 담고 있다. 이 책은 출판 직후 회수되어 이듬해인 1717년에 다시 출판되었다. 8개의 프렐류드는 다음과 같다.

프랑수아 쿠프랭, ''클라브생 연주 기법'' (1716)
번호조성
제1번다장조
제2번라단조
제3번사단조
제4번바장조
제5번가장조
제6번나단조
제7번내림 나장조
제8번마단조


3. 2. 오르간 작품

프랑수아 쿠프랭의 오르간 음악 작품은 1690년 11월에 출판된 "두 개의 미사로 구성된 오르간 작품"(''Pièces d'orgue consistantes en deux messes'') 단 한 곡만이 전해진다.[1] 쿠프랭은 21세의 젊은 나이였기에, 광범위한 출판을 위한 자금이나 명성을 얻지 못했을 것으로 보인다. 이 미사곡들은 인쇄된 표지와 그의 스승인 미셸 리샤르 들라랑드의 승인을 받아 필사본 형태로 출시되었다. 들라랑드는 이 음악에 대해 "매우 아름답고 대중에게 공개될 가치가 있다"고 평가했다.[2]

두 개의 미사곡은 서로 다른 청중을 위해 작곡되었다. 첫 번째 미사곡은 교구나 세속 교회("paroisses pour les fêtes solemnelles")를 위한 것이었고, 두 번째 미사곡은 수녀원이나 수도원 교회("couvents de religieux et religieuses")를 위한 것이었다. 이 미사곡들은 라틴 미사의 전통적인 구조에 따라 여러 악장으로 나뉘는데, 자비송 (5악장), 글로리아 (9악장), 상투스 (3악장), 아뉴스 (2악장)과 각 미사곡을 마무리하는 추가적인 ''오페르토아르''와 ''데오 그라티아스''가 포함된다.

쿠프랭은 기욤 가브리엘 니베르, 니콜라 르베그, 자크 부아뱅과 같은 프랑스 바로크 시대 선구자들의 미사곡 작곡 기법을 따랐다. 그는 ''paroisses'' 미사곡에서 미사 쿤크티포텐스 제니토르 데우스의 평성가를 두 개의 자비송 악장과 첫 번째 상투스 악장에서 고정 선율로 사용했으며, 자비송 ''푸가'' 주제 또한 이 찬트의 시작 부분에서 파생되었다. 반면, ''couvents'' 미사곡에는 평성가가 사용되지 않았는데, 이는 각 수녀원과 수도원이 자체적인 비표준 찬트 체계를 유지했기 때문이다. 쿠프랭은 여러 면에서 선배들과 차이를 보였는데, 예를 들어 ''Récits''의 멜로디는 이전 시대의 작품들보다 더 엄격한 리듬감을 지니고, 더 뚜렷한 방향성을 가진다. 윌리 아펠은 "이 음악은 신성한 질서, 활력, 그리고 신선한 바람과 같이 프랑스 오르간 음악에 스며드는 즉각적인 감각을 보여준다"고 평했다.[3]

이 컬렉션에서 가장 긴 곡은 첫 번째 미사곡의 ''Offertoire sur les grands jeux''이다. 이 곡은 전주곡, 단조의 반음계 푸가, 지그와 유사한 푸가의 세 부분으로 구성된 확장된 프랑스 서곡과 유사한 형태를 띤다. 브루스 구스타프손은 이 악장을 "프랑스 고전 레퍼토리의 놀라운 걸작"[4]이라고 칭했다. 두 번째 미사곡에도 비슷한 형식의 ''오페르토아르''가 포함되어 있지만, 첫 번째 미사곡만큼 걸작으로 평가받지는 못한다. 아펠은 "일반적으로 [쿠프랭]은 생 제르베(Saint-Gervais) 성당의 오르간에서 중요한 축일에 직접 연주했을 첫 번째 미사곡에 비해, 보잘것없는 수도원 교회를 위해 작곡된 이 미사곡에는 அதே அளவு 정성을 쏟지 않았다"고 언급했다.[5]

작품 목록
제목설명
2개의 미사로 구성된 오르간 곡집 'Pieces dorgue consistantes en deux masses'' (1690)
교구 미사 'Messe à lusage ordinaire des paroisses pour les fêtes solemnelles''
수도원 미사 Messe propre pour les Couvents de religieux et religieuses


3. 3. 실내악

프랑수아 쿠프랭은 오르간 음악과 종교음악 외에도 실내악 작곡가로도 뛰어났다. 그는 아르칸젤로 코렐리의 영향을 받아 트리오 소나타 형식을 프랑스에 도입했다. 쿠프랭은 코렐리와 장바티스트 륄리를 기리는 두 개의 웅장한 트리오 소나타를 작곡했다.

  • ''Le Parnasse, ou L'Apothéose de Corelli'' ("파르나소스, 또는 코렐리의 신격화", 1724년 출판)
  • ''L'Apothéose de Lully'' (1725년 출판)


그는 프랑스 바로크 음악과 이탈리아 바로크 음악 스타일을 모두 사용하여 ''réunion des goûts''(취향의 재결합)라고 부른 독특한 스타일을 조화시켰다. 1724년에는 두 가지 바로크 음악 스타일을 결합한 10개의 작품 세트인 "Nouveaux concerts, ou Les goûts réunis"를 출판했다.

그의 실내악 작품들은 다음과 같다.
트리오 소나타

  • 마단조 "소녀" ''La pucelle'' (ca. 1692)
  • 내림나장조 "스타인케르크" ''La Steinquerque'' (ca. 1692)
  • 사단조 "아스트레" ''L'Astrée'' (ca. 1693)
  • 다단조 "환영" ''La visionnaire'' (ca. 1693)
  • 가장조 "위엄" ''La Superbe'' (ca. 1695)
  • 라단조 "회복기" ''La convalescente''[29]

사중주 소나타

  • 라단조 "술탄" ''La Sultane'' (ca. 1695)

『왕의 콩세르』 ''Concerts Royaux'' (1722)

  • 콩세르 제1번~제4번

『취향의 융합, 또는 새로운 콩세르』 ''Les Goûts réunis ou Nouveaux Concerts'' (1724)

  • 콩세르 제5번~제14번
  • 『파르나소스 산, 또는 코렐리 찬가』 ''Le Parnasse ou l'apothéose de Corelli''

『비할 데 없는 륄리 씨의 추억에 바치는 찬가의 콩세르』 ''Concert en forme d'apothéose à la mémoire de l'incomparable M. de Lully'' (1725)
『여러 나라 사람들 - 트리오에 의한 소나드와 심포니 모음곡집』 ''Les Nations - Sonades et suites de simphonies en trio'' (1726)

  • 프랑스인 ''La Françoise'' (트리오 소나타 "소녀"를 바탕으로 함)
  • 스페인인 ''L'Espagnole'' (트리오 소나타 "환영"을 바탕으로 함)
  • 신성 로마 제국인 ''L'Impériale'' (트리오 소나타 "회복기"를 바탕으로 함)
  • 피에몬테인 ''La Piémontaise'' (트리오 소나타 "아스트레"를 바탕으로 함)

『통주 저음이 있는 비올 곡집』 ''Pieces de violes avec la basse chifrée'' (1728)

  • 모음곡 제1번 마단조
  • 모음곡 제2번 가단조

3. 4. 종교 음악

프랑수아 쿠프랭은 오르간 음악과 종교음악 작곡가로도 뛰어났다.

쿠프랭의 오르간 음악 작품으로는 1690년에 출판된 "두 개의 미사로 구성된 오르간 작품"(Pièces d'orgue consistantes en deux messes프랑스어)만이 전해진다.[1] 21세였던 쿠프랭은 출판을 위한 자금이나 명성이 부족했기에, 이 미사곡들은 인쇄된 표지와 스승인 미셸 리샤르 들라랑드의 승인을 받아 필사본으로 출시되었다. 들라랑드는 이 음악이 "매우 아름답고 대중에게 공개될 가치가 있다"고 썼다.[2] 두 개의 미사곡은 서로 다른 청중을 위해 만들어졌는데, 첫 번째 미사곡은 교구 또는 세속 교회(paroisses pour les fêtes solemnelles프랑스어)를 위한 것이었고, 두 번째 미사곡은 수녀원 또는 수도원 교회(couvents de religieux et religieuses프랑스어)를 위한 것이었다. 이 미사곡들은 라틴 미사의 전통적인 구조에 따라 많은 악장으로 나뉘는데, 자비송 (5악장), 글로리아 (9악장), 상투스 (3악장), 아뉴스 (2악장)과 각 미사곡을 마무리하는 추가적인 오페르토아르와 ''데오 그라티아스''가 포함된다.

쿠프랭은 기욤 가브리엘 니베르, 니콜라 르베그, 자크 부아뱅과 같은 프랑스 바로크 시대 선구자들의 기법을 따랐다. 그는 ''paroisses'' 미사곡에서 미사 쿤크티포텐스 제니토르 데우스의 평성가를 두 개의 자비송 악장과 첫 번째 상투스 악장에서 고정 선율로 사용했으며, 자비송 ''푸가'' 주제 또한 찬트의 시작 부분에서 파생되었다. ''couvents''를 위한 미사곡에는 평성가가 없는데, 이는 각 수녀원과 수도원이 자체적인 비표준 찬트 체계를 유지했기 때문이다. 쿠프랭은 여러 면에서 선배들과 달랐다. 예를 들어, ''Récits''의 멜로디는 이전 장르의 예보다 엄격한 리듬감을 가지고 있고 더 방향성이 뚜렷했다. 윌리 아펠은 "이 음악은 신성한 질서, 활력, 그리고 신선한 바람처럼 프랑스 오르간 음악에 스며드는 즉각적인 감각을 보여준다."[3]라고 썼다.

이 컬렉션에서 가장 긴 곡은 첫 번째 미사곡의 ''Offertoire sur les grands jeux''로, 세 개의 큰 섹션, 즉 전주곡, 단조의 반음계 푸가, 그리고 지그와 유사한 푸가로 구성된 확장된 프랑스 서곡과 유사하다. 브루스 구스타프손은 이 악장을 "프랑스 고전 레퍼토리의 놀라운 걸작"[4]이라고 불렀다. 두 번째 미사곡에도 비슷한 형식을 가진 ''오페르토아르''가 포함되어 있지만, 이 미사곡은 첫 번째 미사곡만큼 걸작으로 여겨지지 않는다. 아펠은 "일반적으로 [쿠프랭]은 생 제르베(Saint-Gervais)의 오르간에서 중요한 휴일에 직접 연주했을 첫 번째 미사곡에 비해, 보잘것없는 수도원 교회를 위해 쓰인 이 미사곡에 동일한 정성을 쏟지 않았다."[5]라고 썼다.

그 외에도 다음과 같은 종교 음악 작품을 남겼다.

  • 왕의 명령에 의해 작곡된 모테트의 4개의 구절 ''4 versets d'un motet composé de l'ordre du Roy'' (1703)
  • 왕의 명령에 의해 작곡된 모테트의 7개의 구절 ''7 versets d'un motet composé de l'ordre du Roy'' (1704)
  • 왕의 명령에 의해 작곡된 모테트의 7개의 구절 ''7 versets d'un motet composé de l'ordre du Roy'' (1705)

  • 『어둠의 교훈』 ''Leçons de ténèbres'' (1713~1717)
  • ''어둠의 첫 번째 교훈''
  • ''어둠의 두 번째 교훈''
  • ''어둠의 세 번째 교훈''

  • 나는 당신에게 다가갑니다: 신과 인간의 대화 ''Accedo ad te, Dialogus inter Deum et hominem''
  • 눈을 들어 당신을 우러러 봅니다 ''Ad te levavi oculos meos''
  • 들으시오, 모든 이여, 그리고 두려워하십시오 ''Audite omnes et expanescite''
  • 신과 인간의 대화 ''Dialogus inter Deum et hominem''
  • 주여, 왕을 건강하게 하소서 ''Domine salvum fac regem''
  • 축제는 기쁨으로 (성 안나 축일용 모테트) ''Festiva laetis''
  • 신도들의 기쁨의 목소리는 (성 아우구스티누스 축일용 모테트) ''Jucunda vox eccesiae''
  • 하늘이 기뻐하도록 (성 바르텔로메오 축일용 모테트) ''Laetentur coeli''
  • 주를 찬양하라, 종들아 ''Laudate pueri Dominum''
  • 시온아 구세주를 찬양하라 ''Lauda Sion salvatorem''
  • 마니피캇 ''Magnificat''
  • 오 사랑이여, 오 기쁨이여 ''O amor O gaudium''
  • 오 주여, 피난처이시여 ''O Domine quia refugium''
  • 오 가장 은혜로우신 예수여 ''O Jesu amantissime''
  • 오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기적 ''O misterium ineffabile''
  • 제단에 기도를 드려라 ''Ornate aras''
  • 주님, 당신께 어떻게 보답해야 할까요 ''Quid retribuam tibi Domine''
  • 레지나 첼리 ''Regina coeli laetare''
  • 오르간이 울리도록 (성 세실리아 축일용 모테트) ''Resonent organa''
  • 나를 돌아보소서 ''Respice in me''
  • 살베 레지나 ''Salve Regina''
  • 신이여, 나를 건강하게 하소서 ''Salvum me fac Deus''
  • 탄툼 에르고 ''Tantum ergo sacramentum''
  • 언제까지, 주여 ''Usquequo Domine''
  • 자, 오라 그리스도의 신부여 (성 수잔느 축일용 모테트) ''Veni sponsa Christi''
  • 자 주님께 기쁨으로 노래하라 ''Venite exultemus Domine''
  • 승리: 부활하신 그리스도에 의해 (부활절용 모테트) ''Victoria: Christo resurgenti''

참조

[1] 웹사이트 François Couperin | French composer [1668-1733]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9-07
[2] 문서 F-Pn, Ms Fr. 21590
[3] 문서 大 (le Grand) という形容辞が生前から通用していたのかは不明だが、1780年にはラ・ボルトによる「le Grand と異名を付けられたフランソワ・クープラン」という記述がある。
[4] 문서 なお多くの作品の標題に女性形の定冠詞 "la" がついているが、それは必ずしも題材が女性であることを意味しているわけではなく"pièce"(曲)という女性名詞が省略されていると考えることができる(ピエール・シトロン『クープラン』p. 167; 松前紀男『クープラン:その家系と芸術』p. 226; ジェーン・クラーク, デレク・コノン『人生の鏡』p. 17. )。
[5] 문서 ルイの弟にはもう一人シャルルよりも年長のフランソワ・クープラン (c. 1631-c. 1701) がおり、本項の大クープランとは同姓同名であるため混同しないよう注意が必要である。この大クープランの伯父のフランソワもオルガニスト、クラヴサン奏者で、音楽教師であったが、ティトン・デュ・ティエによれば他の二人の兄弟にくらべると音楽の才能には恵まれていなかったとされている。「良いぶどう酒に目がない小柄な男で、クラヴサンのそばにぶどう酒の瓶と少々のパンさえあれば、嬉々としてレッスンを引き延ばし、それは瓶にぶどう酒がつぎ足されるかぎり続くのが常であった」。かつて大クープランのオルガン曲が彼の作品であるとされたことがあったが、これは誤りであることがわかっている。彼の本当の作品については不明である。[[アルマン=ルイ・クープラン]]は彼の孫。
[6] 문서 クープランは結局この地位に正式に就任することはなく、1737年に娘のマルグリット・アントワネット・クープランがダングルベールの地位を引き継いだ。
[7] 서적 『ニューグローヴ世界音楽大事典』日本語版 講談社 1995
[8] 문서 『クラヴサン曲集第2巻』は出版年の記載がないが、『クラヴサン奏法』の第2版は『クラヴサン曲集第2巻』の出版を踏まえた内容に改訂されており、第2巻に収録されている曲の運指についての解説が追加されている。
[9] 서적 『クラヴサン』 白水社 1978
[10] 문서 森の精、[[シルウァーヌス]]。
[11] 문서 いたずら好きの妖精。
[12] 문서 [[アンリ・ド・ラ・トゥール・ドーヴェルニュ (テュレンヌ子爵)|テュレンヌ元帥]]の銃兵部隊は灰色の制服で知られた。
[13] 문서 『ピエール・パトラン先生』は15世紀の笑劇。口先上手な人物の代名詞。
[14] 문서 ボヘミアの伯爵でリュート奏者のジャン・アントワーヌ・ロジ Jean Antoine Logi を指していると考えられる。
[15] 문서 "[[:en:Fanchon Moreau]] オペラ歌手。"
[16] 문서 マルメロの果汁から作った整髪料。
[17] 문서 "[[:en:Françoise-Charlotte de Senneterre Ménétou]] 女性音楽家。幼少時より非凡な音楽の才能を示し天才少女として知られた。1689年に9歳で王の御前で演奏し、1691年11歳の時に最初の曲集を出版した。"
[18] 문서 "[[:en:Élisabeth Alexandrine de Bourbon]] 通称 Mademoiselle de Sens。"
[19] 문서 Ménestrandise(吟遊詩人組合)が伏せ字にされている。パリの吟遊詩人組合が全ての音楽家に加盟を強要するという事件があり、1693年のこれに抗議する請願書にクープランも署名している。
[20] 문서 婦人のドレスの袖口の飾り。
[21] 문서 [[ルイ15世]]の摂政[[フィリップ2世 (オルレアン公)|オルレアン公フィリップ2世]]はジャン=バティスト・サンテールの絵画において[[ミネルヴァ]]に扮する女性を伴って描かれている[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0/01/Philippe_d%27Orl%C3%A9ans%2C_Regent_of_France%3B_Jean-Baptiste_Santerre..gif]。
[22] 문서 ヴィオール奏者の[[アントワーヌ・フォルクレ]]。フォルクレも「クープラン」 La Couperin という曲を残している。
[23] 문서 マイヨは綱渡りで有名な一座。
[24] 문서 ドミニコ会修道士を指す Jacobin が伏せ字にされている。
[25] 문서 ルイ15世の妃である[[マリー・レクザンスカ]]。彼女はポーランド出身であり、そのためこの曲の第3部は「ポーランド風のエール」と題されている。
[26] 문서 クープランは Siur de Crouilly (クルイイの殿)という土地の所有権を示す称号を先祖から受け継いでいた。
[27] 문서 嬰ヘ短調から中間部では嬰ヘ長調に転調し、当時の記譜法では調号が♯が4つから9つとなり視覚的にも大変刺々しい。
[28] 문서 1707年に出版されたバラールのクラヴサン曲選集に収録 (Christophe Ballard, ''Pièces choisies pour le clavecin de différents auteurs,'' 1707)。
[29] 문서 [[ヨハン・ゲオルク・ピゼンデル]]による手稿譜 (D-Ds, Mus. 2162-Q-2) が2005年に発見されたことで新たに知られるようになった。それまで不明であった『諸国の人々』の「神聖ローマ帝国人」の原曲であると考えられ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